분류 전체보기32 [CT] 조영제에 관하여... 안녕하세요. 양군입니다! 오늘은 CT와 함께 거의 필수적으로 사용하는 조영제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물론 MRI등 다른 검사에서도 쓰인다는 점 알아두시고~ 왜 조영제를 사용하는지, 사용시 주의사항, 부작용 등에 관해 정리 해보려고 합니다. 조영제란? 조영제란 영상검사를 할 때 조직의 대조도(contrast)를 높임으로써 병변을 명확하게 구별해내는데 도움을 주는 의약품으로 정확한 영상진단 혹은 영상유도 하 시술을 위해서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 말이 무엇이냐 하면 예를 들어 손을 CT검사를 했는데 여기서 우리는 혈관을 볼 수 있을까요? 또 혈관이 찢어져 있거나 끊겨 있다면 우리는 어떻게 확인할 수 있을까요? 뼈(bone)의 골절은 바로 알 수 있습니다. X-ray로도 알 수 있을 뿐더러.. 2020. 8. 21. [일반촬영] 발뼈 측방향촬영법(lateral projection), 선자세 촬영법 안녕하세요 양군입니다. 이번에는 저번에 Foot ap, Foot oblique 검사에 이어서 Foot Lateral 검사와 선 자세에서의 검사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발뼈(Bones of foot) 측방향촬영법(Lateral projection) 1) 촬영목적 발목뼈는 부분적으로 겹쳐서 나타나며 발목관절과 목말아래관절은 부분적으로 겹쳐져 보이고, 발허리뼈와 발가락뼈를 중복되게 관찰할 수 있습니다. 2) 촬영방법 내외측방향 촬영은 환자에게 편안한 자세이므로 주로 촬영하며, 환자는 옆으로 누운 자세로 하고 검사 쪽 다리를 아래로오게하며 환자 머리에 베개를 받쳐주어 편안하도록 합니다. 촬영 쪽 다리는 45도로 무릎을 구부리고, 반대쪽 다리는 검사 쪽 다리 뒤에 위치하며 생식샘 보호를 위해 골반부위에.. 2020. 8. 13. [CT]뇌영상(Brain CT)의 특징 안녕하세요 양군입니다. 오늘은 지난번 Brain CT 검사방법에 이어서 뇌 CT 영상의 특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일단 Brain CT는 크게 조영제를 사용한 검사와 사용하지 않은 검사로 나뉩니다. 각각의 영상에서 확인 할 수 있는 특징 및 병변은 다음과 같습니다. 조영증강 전(Pre enhancement) 스캔한 영상 출혈유무 확인, 뼈의 손상여부, 그리고 석회화(Calcification)부위의 유무 등을 확인합니다. 조영제를 주입하지 않고 검사하는 경우는 다음과 같습니다. -급성 머리외상(Acute head trauma) -급성 고혈압성 뇌 내출혈(Acute hypertensive intracerebral hemorrhage) -넘어짐(Fall down) -타박상(Contusion) 이런 경우 뼈 .. 2020. 8. 12. [CT] 뇌(Brain)검사방법 안녕하세요 양군입니다. 오늘은 임상에서 가장 자주 하게 되는 뇌 CT 검사 CT-Brain에 대해 글을 쓰려합니다. 우리나라 3대 사망원인 중 하나인 뇌질환이기에 더욱 많이 검사하고 있습니다. 1) 검사 목적 뇌출혈, 뇌경색 등 뇌혈관질환과 뇌종양 션트(Shunt)위치 확인, 두개골의 기형 그리고 외상(trauma) 타박상(Contusion), 넘어짐(Fall down) 등 갑작스러운 사고 등으로 인한 뇌손상 등을 확인합니다. 2) 검사방법 안와를 포함하여 뇌전체가 포함되도록 하여 두개기저(Skull base)에서 마루점(Vertex)까지 스캔합니다 이때 1cut씩 검사하는 축 방향스캔(Sequence mode 또는 axial mode)이나 용적 자료(Volume data)를 얻을 수 있는 나선형 스캔(.. 2020. 8. 10. [일반촬영] 발뼈 사방향촬영법 (Oblique projection) 안녕하세요 양군입니다. 이번에는 저번에 Foot ap검사에 이어서 Foot obl. 검사(사방향촬영법(Oblique projection) 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발뼈(Bones of foot) 사방향촬영법(Oblique projection) 1) 촬영목적 발가락뼈(phalanges), 발허리뼈(metatasal), 입방뼈(cuboid), 가쪽쪽쐐기뼈(3rd cuneiform), 발배뼈(navicular)와 먼쪽 발꿈치뼈(distal calcaneus)를 관찰할 수 있습니다. 2) 촬영방법 환자는 바로 누운 자세(supine position)로 합니다. 머리에 베개를 받쳐주어 편안한 자세로 한 후, 발바닥이 촬영대에 닿도록 무릎을 굽혀 촬영반대쪽 방향으로 환자의 몸을회전시키고, 생식샘 보호를 위해 골반부.. 2020. 8. 9. 이전 1 2 3 4 ··· 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