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양군입니다.
오늘은 임상에서 가장 자주 하게 되는 뇌 CT 검사 CT-Brain에 대해 글을 쓰려합니다.
우리나라 3대 사망원인 중 하나인 뇌질환이기에 더욱 많이 검사하고 있습니다.
1) 검사 목적
뇌출혈, 뇌경색 등 뇌혈관질환과 뇌종양 션트(Shunt)위치 확인, 두개골의 기형 그리고 외상(trauma) 타박상(Contusion), 넘어짐(Fall down) 등 갑작스러운 사고 등으로 인한 뇌손상 등을 확인합니다.
2) 검사방법
안와를 포함하여 뇌전체가 포함되도록 하여 두개기저(Skull base)에서 마루점(Vertex)까지 스캔합니다
이때 1cut씩 검사하는 축 방향스캔(Sequence mode 또는 axial mode)이나 용적 자료(Volume
data)를 얻을 수 있는 나선형 스캔(Spiral scan 또는 helical scan)으로 한다.
(axial scan의 경우 테이블이 이동하지 않는 검사이므로 스캔범위가 비교적 작은 소아 Brain CT나 빠른 검사속도가 필요하는 Brain Perfusion검사를 할 때 주로 사용합니다.)
1. 머리받침(Headrest)에 환자 머리를 고정시킨 후 좌우대칭인지 확인합니다.
2. 스카웃 스캔을 시행합니다. CT장치의 회사마다 부르는 명칭이 다르며(scout, Topogram, Suvrview 등) 검사 범위를 정하는 과정이 됩니다.
3. 갠트리 각도(Gantry angle) 보통은 OML(Orbitomeatal line)이나 IOML(Infra orbitomeatal line) 또는 SOML(Supra orbit meatal line)에 평행되게 줍니다.
(안와(Orbit)의 피폭을 피하기 위해촬영 각도를 다르게 주는 경우도 있지만, 외상 같은 경우는 안와를 포함하여 검사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어떤 것을 기준으로 정하기는 어려우며 두개기저 (Skull base)에 평행한 것이 가장 무난합니다.
또한 외상환자의 경우나 경직이 있는 환자의 경우 마음대로 머리의 각도를 조정할 수 없어, 스캔을 한뒤 reformat하여 영상을 전송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4. X선 관전압은 주로 120 kVp를 가장 많이 사용하며 200-250 mAs를 주로 시용합니다.
5. 조영 전 검사가 끝나면 팔의 전주정맥(Antecubital vein)을 통해 조영제를 주입합니다(contrast enhancement검사경우)
조영제 주입은 조영제 자동 주사기(Auto injector)를 사용하여 1.0-2.0 ml/sec의 속도로 총 100ml 정도를 주입합니다.
어린이나 소아의 경우0.2-0.5ml/sec의 속도로2ml/kg을 주입합니다.
각 병원마다 조영제 주입을 위해 사용하는 주사바늘은 22게이지 바늘(Gauge needle), 20G, 18G 등으로 다양하지만, CT Angio같이 짧은 시간에 많은 양의 조영제를 한꺼번에 주입하는 특수 CT검사를 제외하고는 보통 22 G 정도면 충분하므로, 너무 굵은 주사바늘 삽입으로 인해 환자에게 주는 고통을 줄여주는 것이 좋습니다.
조영제 주입 후 스캔시작 전까지는 혈관 내에 조영제가 올바로 유입되는지 옆에서 확인합니다.
조영제가 주입되면 환자는 조영제가 들어가는 것을 느끼거나 냄새를 느끼며 불안해하는데, 이런 증상을 미리 설명하여 환자가 심리적으로 편안하게 검사받도록 도와줍니다.
조영제가 혈관 외로 유출되는 것이 확인되면 즉시 조영제 주입을 중지하고 검사를 중단한 후 처치를 합니다.
3) Filming 또는 PACS 전송작업
뇌 CT영상기록에 있어 각 부위별 창 폭(Window width) 과 창 수준(Window level은) 다음과 같습니다.
(0세 이하의 어린이 경우 창 폭은 어른보다 20-30 정도 낮춥니다.)
두개기저(Skull Base) [Window width -100~ 130 ] [Window level 20~ 40 ]
대뇌(Cerebrum) [Window width - 90~ 110 ] [Window level 25~ 40 ]
뼈 조절(Bone setting) [Window width -2000~ 2500 ] [Window level 400~ 500 ]
위의 자료는 어떤 부위를 특정히 잘 보기 위한 창 폭(Window width) 과 창 수준(Window level)의 자료일 뿐
각 병원마다 필요로 하는 영상의 창 값은 다를 수 있고, 또한 계속 변할 수도 있습니다.
다음 시간에는 뇌영상에서 발견할 수 있는 뇌병변의 종류들과 뇌영상의 특징에 대해 알아보려 합니다.
많은 도움이 되셨길 바라며 이만 글 마치겠습니다.
이 티스토리는 제품리뷰, 감상리뷰, 영상검사법을 올리려고 합니다. 그 외 일상, 맛집, 취미, 도움이 되는 지식, 잡다한 이야기에 관한 것은 https://blog.naver.com/tpdud781에 글을 올리고 있으니 관심 있으시면 방문 부탁드립니다.
[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한 번 눌러주세요! ]
'영상의학 > CT' 카테고리의 다른 글
[CT] 조영제에 관하여... (0) | 2020.08.21 |
---|---|
[CT]뇌영상(Brain CT)의 특징 (0) | 2020.08.12 |
[CT]CT검사에 앞서... (0) | 2020.08.07 |
[CT] CT에 관하여 (0) | 2020.07.1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