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32

[일반촬영] 발뼈(Bones of foot) 전후방향촬영법(AP projection) 안녕하세요 양군입니다. 오늘은 일반촬영의 여러 부위 중 하지쪽의 발뼈(foot bones)를 검사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발뼈(foot bones) - 발뼈란 발을 형성하는 발목뼈(tarsal bones), 발허리뼈(metatarsal bone), 발가락뼈(phalanges) 모두를 말하며, 다리(하지) 중 종아리 아래 발목으로 연결되는 다리의 끝부분입니다. 발뼈의 기능은 생각보다 중요합니다. 발에 있는 많은 뼈들이 체중을 발 전체로 분산시켜주고 서 있을 때 균형을 유지하게 해 줍니다. 또한 발바닥에 닿는 지형의 변화에 맞추어 자세를 잡고 충격을 흡수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걷거나 달릴 때 발꿈치에 실린 체중은 앞발로 전달되게 됩니다. 발뼈(foot bones) 검사방법 중에는전후방향(AP.. 2020. 8. 8.
[CT]CT검사에 앞서... 일반촬영보다 CT촬영이 더 어렵게 지는 것은 왜 일까요? 실제로 임상에서의 검사는 해부학적인 지식은 물론 병리학적인 부분까지 고려해야 합니다. 많은 일반촬영검사를 한후 선별해서 시행하던 과거에 비해, 요즘은 거의 기본 검사로 시행하고 있으며, 또한 최신 기술력으로만들어진 CT기기의 발전은 우리가 기존에 생각해왔던 많은것들을 실행할수있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CT검사는 각 병원마다 다른 기종의 장치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한 가지의 방법으로만 검사를 할 수가 없고 검사방법도 그 장치에서 가능한 것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통일될 수는 없습니다. 그렇기에 실제 임상에서는 환자에게 필요한 고분해능영상이라든지, 성분분석이라든지 목적에 따라 이 검사실에서 다른 검사실로 이동하여 검사하는 경우가 많죠. 또한 병원에서 CT.. 2020. 8. 7.
[일반촬영] 어깨뼈(scapula) 전후방향, 측방향 촬영법 안녕하세요 양군입니다. 오늘은 일반촬영의 여러 부위 중 상지쪽의 어깨뼈(scapula)를 검사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어깨뼈(scapula) - 등과 팔이 이어지는 부분에 있는 뼈입니다. 어깨의 뒤쪽, 즉 등의 윗부분의 양쪽에 위치하며 대략 제2에서 제7갈비뼈의 높이에 위치합니다. 거의 등쪽에 있어 상지에 포함이 안될 수도 있다고 생각하지만, 빗장뼈, 위팔뼈와 함께 관절을 이루는 상지에 포함됩니다. 어깨뼈(scapula) 검사방법중에는 전후방향(AP projection), 측방향(Lateral projection)촬영 방법이 있으며 우선 전후방향(AP projection) 촬영방법을 먼저 보겠습니다. 어깨뼈(scapula) 전후방향촬영법(AP projection) 1) 촬영목적 어깨뼈(scapu.. 2020. 7. 31.
[일반촬영] 위팔뼈(Humerus) 전후, 측방향 촬영법 안녕하세요 양군입니다. 오늘은 일반촬영의 여러 부위 중 상지쪽의 위팔뼈(humerus)를 검사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위팔뼈(humerus) - 어깨뼈와 아래팔뼈인 노뼈와 자뼈를 연결하는 뼈입니다. 몸쪽 위팔뼈, 위팔뼈몸통, 먼쪽 위팔뼈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위팔뼈 검사방법중에는 전후방향(AP projection), 측방향(Lateral projection)촬영 방법이 있으며 우선 전후방향(AP projection) 촬영방법을 먼저 보겠습니다. 위팔뼈(Humerus) 전후방향촬영법(AP projection) 우선 검사에 앞서 골절이나 탈구가 의심되면 팔을 회전시키지 않으며, 외상환자의 촬영 방법을 이용합니다. 1) 촬영목적 위팔뼈(humerus) 전체의 정면상을 잘 관찰할 수 있습니다. 2) .. 2020. 7. 29.
[일반촬영] 팔꿉관절(elbow joint) 사방향(Oblique) 촬영법 안녕하세요 양군입니다. 저번 시간에는 팔꿉관절의 ap, lat 로 전후방향, 측방향검사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오늘은 팔꿉관절(elbow joint)의 Bi-Obliqe, 즉 안쪽사방향, 가쪽사방향 촬영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팔꿉관절(elbow joint) 안쪽사방향촬영 (Medial Obliqe Projection) 1) 촬영목적 위팔뼈(humerus) 먼쪽부(distal part)와 노뼈(radius)와 자뼈(ulna) 몸쪽부(proximal part)의 사위상을 관찰 할 수 있습니다. 내사방향으로 촬영하면 자뼈의 갈고리돌기(coronoid process)가 잘 관찰되며, 내.외 사방향 촬영의 선택은 관심영역이 갈고리돌기 또는 노뼈머리(radial head)와 노뼈목(radial neck)에 의해.. 2020. 7.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