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양군입니다.
오늘은 일반촬영의 여러 부위 중 상지쪽의 아래팔(forearm)을 검사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아래팔(forearm)
아래팔 검사방법중에는 전후방향(AP projection), 측방향(Lateral projection)촬영 방법이 있으며
우선 전후방향(AP projection) 촬영방법을 먼저 보겠습니다.
아래팔(forearm) 전후방향(AP projection)촬영법
(1)촬영목적
노뼈(radius)와 자뼈(ulna)전체, 손목뼈의 몸쪽부, 위팔뼈의 먼쪽 끝부분과 팔꿉관절을 관찰할 수 있습니다.
(2)촬영방법
손바닥을 위로 하고, 손과 팔을 완전히 펴서 촬영대 끝에 앉힙니다.
팔 전체가 같은 평면에 오도록 어깨를 낮추어 2등분하여 촬영할 부분의 상수용체(IR) 장축에 아래팔을 일치시킵니다.
손목관절 , 팔꿉관절, 어깨관절 전체가 바른 정면자세가 되도록 환자의 몸을 가쪽으로 기울입니다.
가쪽 위관절융기와 안쪽 위관절 융기가 상수용체(IR)에서 같은 거리에 있어야 합니다.
중심X선은 아래팔 중간을 향해 상수용체(IR)면에 수직으로 입사시킵니다.
X선조사야는 양쪽 가쪽경계가 실제 아래팔 위가 되도록 하고, 양쪽 끝의 관절이 반드시 포함되도록 조사야를 조절합니다.
X선속의 확산을 고려해서 손목관절에서 먼쪽으로 최소 2~3cm, 팔꿉관절에서 몸쪽으로 최소 2~3cm 부위가 상수용체(IR)에 포함되는가를 확인합니다.
(3)영상평가
-아래팔의 장축이 2등분하여 촬영하는 부분의 상수용체(IR) 장축에 일치되어 배열되어야 합니다.
-상수용체(IR) 안에 손목뼈와 위팔뼈 먼쪽부가 포함되어야 합니다.
-위팔뼈 위관절융기가 노뼈머리, 노뼈목, 자뼈에 의해 약간 겹쳐진 거친면이 함께 나타나야하며, 먼쪽 노자관절에서 약간의 겹침이 있어야합니다.
아래팔(forearm) 측방향(Lateral projection)촬영 방법
(1) 촬영목적
노뼈(radius)와 자뼈(ulna) 전체, 손목뼈(carpals)의 몸쪽(proximal), 팔꿉관절과 위팔뼈(humerous)의 먼쪽끝(distal end)을 관찰할 수 있습니다.
(2) 촬영방법
팔꿉관절을 90도 굽혀서 촬영대 끝에 앉힌 다음, 상지 전체가 같은 평면에 놓이도록 어깨를 낮춥니다.
2등분하여 촬영할 부분의 상수용체(IR) 장축에 아래팔의 중심을 일치시키고, 엄지를 위로하여 바른 측면 자세가 되도록 손과 손목관절(wrist joint)을 회전시킨 다음에 손의 움직임을 방지하기 위해 손을 지지합니다.
노뼈와 자뼈의 먼쪽부(distal part)가 완전히 겹치는가를 확인합니다.
증심X선은 아래팔(forearm)의 중앙을 향해 상수용체(IR)에 수직으로 입사시킵니다.
조사야 범위는 양쪽의 경계를 실제 아래팔로 하고, 양쪽 끝은 양쪽 관절의 해부학적 구조가 포함되도록 조절합니다.
X선속 확산을 고려할 때, 손목관절에서 먼쪽부로 최소2-3cm, 팔꿉관절에서 몸쪽부(proximal part)로 최소 2~3cm 부위가 상수용체(IR)에 포함되는가를 확인합니다.
(3) 영상평가
- 팔꿉관절은 90도로 굽혀져 있고 아래팔이 2등분한 상수용체(IR)의 장축에 일치되어 배열되어야 합니다.
-최소한 손목뼈의 먼쪽(distal)이 나타나야 하고 위팔뼈 먼쪽부가 상수용체(IR)의 몸쪽부에 나타나야 합니다.
-자뼈 먼쪽부 골두가 노뼈와 완전히 겹쳐져야 촬영 부위가 회전하지 않은 것이며, 위팔뼈 위관절융기(epicondyles)
도 완전히 겹쳐져 나타나야 합니다.
-노뼈머리(radial head)가 갈고리돌기(coronoid process)와 겹쳐져야 하며 노뼈거친면의 윤곽은 나타나지 않아야 합니다.
-손목관절과 팔꿉관절 공간이 X선속의 확산 때문에 부분적으로 약간만 분리되어 나타납니다.
-가쪽 선속경계가 아래팔의 양쪽에서 보여야 하고, 양쪽 끝에서 경계는 양쪽 관절의 모든 해부학적 구조가 잘 나타나야 합니다.
- 환자의 움직임이 없는 적당한 노출로 촬영된 영상에서 선예한 골경계와 명확한 구조를 나타내며, 아래팔의 먼쪽끝과 몸쪽끝에서의 사진농도가 비슷해야 합니다.
이 티스토리는 제품리뷰, 감상리뷰, 영상검사법을 올리려고 합니다. 그 외 일상, 맛집, 취미, 도움이 되는 지식, 잡다한 이야기에 관한 것은 https://blog.naver.com/tpdud781에 글을 올리고 있으니 관심 있으시면 방문 부탁드립니다.
'영상의학 > 일반촬영(X-ra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반촬영] 팔꿉관절(elbow joint) 사방향(Oblique) 촬영법 (0) | 2020.07.27 |
---|---|
[일반촬영]팔꿉관절(elbow joint) 전후,측방향 촬영법 (0) | 2020.07.21 |
[일반촬영] 손목다리 (carpal bridge) 검사방법 (0) | 2020.07.08 |
[일반촬영] 손목관(carpal canal) 검사방법 (1) | 2020.06.24 |
[일반촬영] Ulnar flexion, Radial flexion후전방향 촬영 (0) | 2020.06.23 |
댓글